관덕정
종 목 : 보물 322호
명 칭 : 관덕정 (觀德亭)
시 대 : 조선시대 후기
조선시대(朝鮮時代) 제주지방 통치의 중심지였던 제주목(濟州牧) 관아는 지금의 관덕정(觀德亭)을 포함하는 주변 일대에 분포해 있었으며, 이미 탐라국(耽羅國)시대부터 성주청(星主廳) 등 주요 관아시설(官衙施設)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처: 제주목관아)
-------------------------------------------
제주에 살면서 가장 중심이 되는곳 같다. 제주시에서 가장 많이듣는말이 목관아 쪽으로 오라는말같다.
바로옆에는 관덕정이있고, 제주목관아는 설명을 듣고 싶었지만, 3월부터 설명하시는 분이 온다고 한다.
그래서 오늘은 그저 눈띵만 하고 담에 설명할때와서 봐야겠다
입장료는 어른 1,500원 , 어린이 1,000
교통편은 시내버스 대부분이 통관한다. 중앙사거리에 내리면되고,
대중교통이 제주에서 중앙로가 젊은에거리? 정도 되는것같다 옷가게가 즐비하게 서있다..중앙로거리
종 목 : 보물 322호
명 칭 : 관덕정 (觀德亭)
시 대 : 조선시대 후기
관덕(觀德)이란 문무의 올바른 정신을 본받기 위해 ‘사자소이관성덕야(射者所以觀盛德也)’에서 따온 말로, 평소에 마음을 바르게 하고 훌륭한 덕을 쌓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누정 건물은 『탐라지』에 의하면 조선 세종 30년(1448) 병사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웠다. (출처: 문화재청)
제주시내에 삼도동에 있고, 현대인에게는 제주번화가와 가까워 만남에 장소로 이용되고있다고 함..
제주 목관아
종 목 | 사적 제380호 |
---|---|
명 칭 | 제주목관아(濟州牧 官衙 ) |
-------------------------------------------
제주에 살면서 가장 중심이 되는곳 같다. 제주시에서 가장 많이듣는말이 목관아 쪽으로 오라는말같다.
바로옆에는 관덕정이있고, 제주목관아는 설명을 듣고 싶었지만, 3월부터 설명하시는 분이 온다고 한다.
그래서 오늘은 그저 눈띵만 하고 담에 설명할때와서 봐야겠다
입장료는 어른 1,500원 , 어린이 1,000
교통편은 시내버스 대부분이 통관한다. 중앙사거리에 내리면되고,
대중교통이 제주에서 중앙로가 젊은에거리? 정도 되는것같다 옷가게가 즐비하게 서있다..중앙로거리